만일 내가 글을 읽고 쓸수가 없었다면 내 인생은 어떤 방향으로 흘러갔을까?
글을 읽고 쓸수있는 사람들에게는 한장의 신문을 읽는다거나 길거리 붙어져있는
간판을 보는것이 얼마나 중요한 일인지 이해하지 못한다.
이것은 마치 배가 고프면 본능적으로 밥을 먹는것처럼 글을 읽고 쓸수있는
사람으로서는 당연한 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도 우리들 주변에는 글을 읽거나 쓸줄 모르는 분들이
예상외로 많은것 같다. 소위 우리가 말하는 21세기,
극도로 문화가 발달된 선진국가에서도 이 문맹자들이 있다고 말한다면
많은 분들은 놀랄것이다.
사진출처: bereslim.nl
네델란드도 예외는 아니다.
다민족으로 이루어지는 네델란드사회에서는 이 문맹자의 문제가 더욱 복잡하다.
현재까지 밝혀진 바로는 약 1천오백만명의 문맹자들이 있다고한다.
이중에는 네델란드인들도 있지만 많은 이민자들에게 이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60,70년대 노동자의 신분으로 이민온 이들은 네델란드어를 배울 시간과
기회가 없었을뿐만 아니라 그들의 고향에서도 문맹자였던것이 가장 큰 이유다.
이런 문맹퇴치운동에 앞장서는 네델란드 왕실가의 로렌티엔왕자비
(H.R.H. Princess Laurentien).
여왕 베아트릭스의 막내아들(Prins Constantijn, 콘스탄테인왕자)의 부인으로
그녀는 이 문맹퇴치운동에 적극적으로 활동한다.
2004년 문맹자퇴치운동의 하나로 설립된
“The Reading & Writing Foundation/Stichting Lezen & Schrijven”을 통하여
그녀는 문맹자들의 심각한 문제를 큰 사회적이슈로 부각시켰다.
세자매의 어머니로서 또는 그녀의 높은 지위로서 그녀가 활동하는 분야는 다양하다.
학교를 방문하여 아이들을 위해 책을 읽어주는일,
책을 읽으므로 책의 중요성과 읽고 쓸수있다는 자체가 얼마나 중요한 일인가를
아이들과 부모들에게 직접 설명하기도 하고 이 문맹퇴치운동에 그녀의 지위도
최대한으로 이용한다. 그녀가 쉽게 접할수있는 국제적인 단체를 통해 아직도
후진국의 남녀평등문제로 여성이 쉽게 접할수없는 교육문제,
이로인하여 발생하는 여성들의 사회와의 단절된 생활등으로 일어나는 문제점들을
타파하고자한다.
사진출처: pearlofafrica.eu
문맹자들의 사회진출은 무척 어렵다.
이런분들은 사회진출마저도 꺼리는 형편이다.
문맹이 무슨죄가 되는것처럼 항상 두려움속에서 생활하고 사회생활마저도
피하는것 같다. 이리하여 더욱 고립된 생활을 유지해야 하는 이들에게 이런
문맹퇴치운동은 아주 환영받을만하다. 이들도 사회구성원의 일원으로서
워킹 클라스 히로우(Working class hero)인것이다.
사진출처: vandermeerverspreding.nl
글을 읽고 쓸수있다는 문제는 지능의 문제만이 아닌것으로 이곳에서는 분석한다.
주위환경, 즉 책을 잘 접하지않는 부모들의 태도
이런 어린이들에게 학교에서의 관심부족
이민자 2세들에게 자주 발생하는 언어문제등이 중요한 이유중에 하나라고…
작년에 한국을 방문했을때 먼 친척을 공항에서 잠깐 만난적이있다.
건강하게 생긴 아이를 동반한 이 친척은 아이에게 굉장히 신경을 쏟는것 같았다.
아이가 무척 산만하고 하는 말을 잘 알아들을수없어 친척에게 한마디 물어봤다.
조심스럽게…
아이가 아주 건강하고 활동력이 대단하다고…
나를 휠끔 쳐다보며 말하는 이 친척의 대답.
아이가 건강하고 활동력있는 아이가 아니라 ADHD와
디스렉시아(Dysiexia)가 있다고…
그래서 단 일분도 이 아이에게 눈을 뗄수가 없다고…
글을 쓸줄도 읽을줄도 모르는 이 아이를 바라보는 사회의 차거운 눈길에
이민마저 생각하고 있다고…
이말을 듣는순간 쥐구멍이라도 파고 들어가고 싶은 심정이였다.
이 디스렉시아로 인하여 이 아이는 글을 읽을수도 쓸수도 없는
문맹자의 일원으로 사회에 내동댕이 쳐지는것이다.
내주위, 우리들의 사회에 글을 읽을줄 모르는이, 글을 쓸줄 모르는 이들이
어디에 있는지는 우리들의 눈에는 잘 보이지 않는다.
다만 한가지 문맹은 전염병도 아니고 그들의 죄가 아니라는것.
당당하게 사회구성원으로서 일할수있는 문맹자들에 대한 관심,
문맹자라는 이유로 사회에 버림받는 이들의 경제적인 문제,
그리하여 일어나는 빈곤문제점을 막아야하는것이 우리들의 의무가 아닌가 생각한다.
'일상,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여성과 유럽여성의 차이점은... (152) | 2009.08.21 |
---|---|
정규직, 비정규직 노동의 가치는 동등하다. (80) | 2009.08.10 |
문맹퇴치운동에 앞장서는 네델란드왕실 (72) | 2009.08.03 |
어떤일로 네델란드부부들은 부부싸움하나? (76) | 2009.07.30 |
아이들의 생일파티 그 한계점은? (70) | 2009.07.15 |
네델란드 성교육 (123) | 2009.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