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 세계화는 어디까지 왔나.
인간이라면 누구나 같은 색의 사람들과 살아가기를 원하고 그들과 같은 언어로
생활하기를 원하는것 같다. 고향에 대한 향수라는것을 모르고 생을 영위한다는것
도대체 존재하지 않을것 같다. 우리가 세계 여러곳에 한인타운을 이루고 생활하고
있듯이 이곳 유럽에도 같은 나라 사람들끼리 모여 동네를 이루고 생활하는 곳이 있다.
네덜란드 암스텔베인에 한인사회, 일본인사회를 이루고 거주하고 있듯이 독일,
특히 뒤셀도르프는 일본인들이 많이 생활하고 있다. 뒤셀도르프의 거리들을
둘러보느라면 마치 일본의 한 부분을 옮겨놓은 듯한 인상을 받기도 한다.
뒤셀도르프의 중앙역에서 이여지는 거리에는 거의 일본인 상점, 호텔,음식점들이
절비하다. 물론 한인상점도 더러 있지만…
이 뒤셀도르프근교에 일본문화원이 설치되여있다.
규모는 예전 벨기에 하설트(Hasselt)에서 본 일본정원과는 비교할수 없지만 절과
그들 특유의 물, 목조건물, 돌로 장식된 정원, 서구인들이 경탄을 금하지 않는
일본 정원을 구경할수있다.
서구사회에서 생활하면서 느낀점이 있다면 이곳 서구인들이 생각하는 동양은
항상 신비의 나라, 긴 역사를 자랑하는 중국, 일본등을 먼저 거론한다는 점이다.
우리에게도 길고 찬란한 반만년의 역사가 있지않나. 우리는 우리 특유의,
세계에서 제일 합리적이고 아름다운 언어와 우리 고유의 문화를 가지고 있지않나.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왜 우리 고유의 문화와 우리나라는 항상 중국, 일본문화에
빛을 발하지 못하고 있을까.
생각컨대 일본은 그들 문화에 대단한 긍지를 가지고
있을뿐만 아니라 대외적으로 많은 홍보를 하는것 같다. 정부차원에서뿐만 아니라
민간단체들의 활동도 많이 있는것으로 알고있다. 예전 신공업국가로 제품만
서구시장에서 팔던 일본은 사라졌다고 볼수있다. 그들이 생산하던 제품 판매만으로
더 이상 그들의 나라를 홍보하지 않는다. 은연중에 접하는 문화, 쉽게 접할수 있는
대도시에서 만나는, 그들 고유의 문화를 서구인들에게 알게 모르게 접할수 있는 기회를
주는것이다. 이런 방법의 나라 홍보는 한개의 제품 판매보다 효과적이라 생각한다.
사람들의 생각에 오랫동안 남겨진다는 것이다.
뒤셀도르프의 이 일본문화원을 구경하면서 언듯 생각난 우리나라 문화정책.
우리도 이제는 집안싸움으로 허송세월 하지말고 우리의 새로운 문화정책 한번
생각해 볼 시기가 아닌가도 생각된다.
'독일 여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르강을 따라 찾아간 포도 생산지, 아바일러 (47) | 2010.10.24 |
---|---|
뒤셀도르프 크리스마스 시장 (71) | 2009.12.12 |
도심속에서 만난 일본문화 (95) | 2009.11.08 |
스콜피언스의 변화의 바람, 우리도 언젠가는… (69) | 2009.09.26 |
독일 레마겐에서 만난 전쟁의 아픔 (90) | 2009.09.22 |
베를린과 포츠담 둘러보기 (32) | 2009.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