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칭이 부담스러운 한인사회
인간관계에서 거부하고 싶고 부담스러운 것이
있다면 이름이나 호칭으로 신분의 차이를 말하는
일이다. 특히 직업과 졸업장으로 계급의 서열을
말하는 것 아주 싫어한다. 네덜란드 거주
인도네시아인밖에 접한 적이 없으니 다른 동양인
사회에서는 외국에서 어떤 식으로 동족끼리 교류
하는지 알 수 없지만 적어도 살아본 독일이나
네덜란드 한인사회에서 우리나라 사람들은 계급의식이
무척 강하다는 것을 느낀다.
네덜란드에서 생활하면서 나는 이곳에서 생활하는
한국인들과 잘 만나지 않는다. 그것은 서로 생활하는
곳의 거리상의 문제도 있겠지만 선후배, 나이 혹은
직업을 따지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기 때문이다.
아마 나처럼 호칭이 부담스러워 한인사회를 피해
살아가는 사람도 더러 있을 것이다.
예전 윗분이나 부모님들에게 존댓말을 사용하던 네덜란드는 현재 존댓말이 사라지고 있다.
물론 아직도 처음 만난 사람에게 나이와 상관없이 존댓말을 사용하는 것이 예의다. 하나
우리는 X 변호사님이라던지 학교 선후배를 따지지 않는다. 상사에게 존댓말 사용하는 것도
지극히 제한되어 있다. 이곳 사람들은 인간관계를 맺을 때 직업, 나이, 사람의 배경은 그리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다. 우리처럼 특별한 호칭도 없다.
오직 이름만 존재할 뿐.
우리나라에서 손윗사람에게 언니나 형으로 부르는 것은 당연한 일이나 겨우 한 살 차이인
사람에게까지 언니니 형이라고 불러야 하는 게 너무 부담스럽다. 그래서 나는 젊은 세대
한국인을 만나면 그저 친구처럼 말도 놓고 부담없이 지내자고 한다.
이곳 사람들처럼.
그런데 그렇게 행동하는 것이 어려운 모양이다. 서구식 생활방식은 좋아하면서 왜 서로 불편한
점은 굳이 감수하려고 하는지 이해가 안 된다. 하나 이렇게 한국인끼리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들이지만 외국인을 만나면 한국인은 외국인의 방식대로 행동하길 좋아하는 것 같다.
한국인 사이에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지만 외국인과의 관계에선 쉽게 태도를 변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외국에서 생활하면서 고향을 그리워하지 않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호칭문제로 외국 땅에서
한국인이 만나 서로 서먹하고 부담스러워져야 한다면 굳이 부담스러운 예의 지켜야 할 필요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네덜란드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억에 남는 두 공무원의 모습 (58) | 2011.02.11 |
---|---|
이집트 사태로 본 네덜란드 정부의 자국민에 대한 안전정책 (69) | 2011.02.08 |
계급사회를 연상케 하는 한인사회의 호칭 (60) | 2011.02.07 |
네덜란드 장례식에서 들었던 양희은의 노래 (51) | 2011.02.04 |
한국 인터넷 신문광고 vs 네덜란드 인터넷 신문광고 (50) | 2011.02.02 |
설날에 대한 나의 기억들 (58) | 2011.02.01 |